• 정치적 이슈로 분기 중 실적 전망을 하향 조정했음에도 불구하고 테슬라의 주당순이익(EPS)과 매출 모두 월가의 기대치 하회
  • 매출과 주당순이익은 전 분기 대비는 물론 전년 동기 대비 모두 감소
  • 차량 인도량 감소 및 신차·중고차의 평균판매가격(ASP) 하락은 일론 머스크가 트럼프 행정부를 공개 지지한데 따른 여론 악화와도 맞물려 있어
  • 부진한 실적 발표 이후 일론 머스크는 테슬라 운영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겠다고 표명
  • 부정적인 분기 실적에도 에너지 부문과 서비스 부문 매출은 견조한 성장세를 보여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이하”카운터포인트”)에 따르면, 테슬라의 2025년 1분기 실적은 분기별 매출과 주당순이익(EPS) 모두 월가의 예상치를 밑돌며 기대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자동차 부문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했고, 순이익은 무려 71% 하락했다. 테슬라는 이 같은 수익성 악화를 인공지능(AI) 및 연구개발(R&D) 분야에 대한 지출 증가로 설명했다.

반면, 긍정적인 신호도 있었다. 에너지 부문 매출은 67% 급증했고, 서비스 부문 역시 15% 성장했다. 또한, 자동차 부문 매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슈퍼차저 충전소 수는 14% 증가했다. 테슬라의 슈퍼차저 네트워크는 일론 머스크와 관련된 논란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편인데, 다른 어떤 충전 네트워크보다 안정성과 범용성이 뛰어나기 때문으로 보인다. 최근 여러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테슬라의 NACS 충전 포트를 채택하면서 테슬라의 슈퍼차저 네트워크에 대한 접근성이 확대됨에 따라 향후 서비스 부문 매출은 계속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출처: 테슬라

2025년 1분기 테슬라의 차량 인도량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3% 감소했다. 테슬라는 실적 부진의 원인으로 신형 모델Y, 환율 등의 요인을 들었지만 사실상 더 큰 문제는 정치적 논란에 대한 소비자의 반감이다. 머스크의 트럼프 행정부 관여에 대한 개인의 견해는 다를 수 있으나, 이것이 브랜드에 악영향을 주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매출에 영향을 준 또 다른 요인은 판매 촉진을 위한 가격 인하였다. 테슬라는 판매량을 유지하기 위해 평균판매가격(ASP)을 낮췄다. 중고 테슬라 차량에 대한 수요도 감소하고 있다. 많은 기존 고객들이 머스크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면서도 당장은 차량을 계속 보유하고 있다. 콜로라도에서는 테슬라 운전자들사이에서 머스크를 비판하고, “일론이 미치기 전에 샀다”고 적힌 범퍼 스티커를 붙이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카운터포인트는 전했다.

출처: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중고차 가격 플랫폼 ‘카구루(Car Guru)’에 따르면, 테슬라 중고차의 평균 가격은 전년 대비 7.19% 하락했으며, 이는 전체 중고차 시장 평균 하락률인 1.36%보다 훨씬 크다. 특히 모델3와 모델Y의 가격은 두 자릿수 하락세를 기록했다. 테슬라는 북미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이 하락했다고 보고했으며, 중국에서는 비교적 변동이 적었다. 유럽 지역 시장 점유율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유럽 전역에서 판매량이 크게 감소했다는 보도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지역별 테슬라 시장 점유율

출처: 테슬라 IR 자료

무역 관세 이슈에 대해 머스크는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높은 관세보다 낮은 관세를 지지하는 입장을 계속 고수할 것이라고 밝히면서도 최종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에게 달려 있다고 덧붙였다. 그럼에도 테슬라는 북미 내 생산 비중과 ‘미국산(Made in USA)’ 부품 비중이 높다는 다른 경쟁사보다 유리한 입장에 있다. 이는 테슬라가 관세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일부 상쇄하고, 북미 시장에서의 점유율 하락을 어느 정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완전자율주행(FSD) 기술 측면에서 테슬라는 도로 주행 차량들과 텍사스 기가팩토리에서 훈련 중인 차량의 방대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하고 있다. 기가팩토리의 차량들은 테슬라의 기존 데이터 모델들을 기반으로 조립 직후 자율 주행을 통해 출고 장소로 이동하고 있다.

테슬라는 1분기 중국 시장에서 감독형 FSD(완전자율주행) 모델을 출시했는데 중국 현지 학습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서비스를 시작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가 관련 규제를 변경하면서 출시는 일시 중단되었고, 서비스 명칭도 ‘지능형 보조 운전(Intelligent Assisted Driving)’으로 변경해야 했다. 이는 중국 내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에 대한 규제가 더욱 강화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향후 FSD 매출 성장의 장애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미국의 경우, 머스크는 올해 말까지 일부 도시에 비감독형 FSD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그는 동시에 규제상의 문제로 이 목표가 달성되지 못할 수 있다고 덧붙였는데 머스크의 그간 일정 발표가 지나치게 낙관적이었음을 고려하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만 5천 달러짜리 신형 모델 역시 올해 말 공개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됐지만, 생산 일정은 예상보다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머스크는 자신이 관여한 도지코인(DOGE) 프로젝트를 옹호하면서도, 약 한달 후면 해당 프로젝트가 거의 마무리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후 테슬라에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을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도지코인에서 완전히 손을 떼지는 않겠지만, 현재로선 테슬라 정상화에 집중할 필요가 있음은 분명해 보인다. 그가 입힌 브랜드 이미지 손상이 회복 가능한 수준인지는 앞으로 지켜봐야 할 것이다.

수출 바우처 상담 문의

(카운터포인트 담당: 장한솔 hansol.jang@counterpointresearch.com)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기술 생태계 전반에 걸쳐 시장 데이터, 인사이트, 리포트 및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산업 및 시장 조사 기관입니다. 반도체 제조사, 부품 공급업체, 소프트웨어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부터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 유통 채널, 투자자에 이르기까지 공급망 전반에 걸친 다양한 글로벌 고객에게 자문을 제공합니다.

경험이 풍부한 당사의 애널리스트 팀은 전 세계 주요 혁신 허브, 제조 클러스터, 주요 상업 중심지에 위치한 글로벌 오피스를 통해 고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기업 내 최고경영진(C-suite)부터 전략, 시장 인텔리전스, 공급망, 연구개발(R&D), 제품 관리, 마케팅, 영업 등 다양한 부서와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카운터포인트 주요 연구 분야

: 인공지능(AI), 자동차, 클라우드, 커넥티비티, 소비자 가전, 디스플레이, eSIM, IoT(사물인터넷), 위치 기반 플랫폼, 거시경제, 제조, 네트워크 및 인프라, 반도체,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기기 등

공개된 시장 데이터, 인사이트 및 리포트를 확인하고, 애널리스트와의 소통을 원하시면 카운터포인트 라이브러리를 방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