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Hansol Jang | 2025.07.24 | PR
2025년 2분기, 전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2% 증가하며 2분기 연속 성장세 기록. 북미, 일본, 유럽 시장 수요 회복이 주요 동력. 삼성은 시장 1위 자리를 유지했으며 상위 5대 제조사 중 가장 높은 성장률(8% YoY) 기록. 이는 지역별 수요 회복과 A 시리즈 등 중저가 제품군의 전략적 출시에 따른 효과 애플은 북미·인도·일본 시장에서의 강세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4% 성장하며 꾸준한 성장세 유지 모토로라, 인도 및 북미 선불폰 시장에서의 성과로...
by Hansol Jang | 2025.07.21 | PR
2025년 1분기 OLED 패널 출하량과 매출액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4%, 2% 증가 TV, 태블릿, 모니터, 스마트폰 위주로 출하량이 증가한 반면 PC·노트북 부문은 감소세 2025년 연간 기준 전체 OLED 패널 출하량이 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에도 불구하고, 전 제품군의 패널 평균판매가격(ASP)이 하락함에 따라 매출은 정체될 것으로 예상. 특히 스마트폰용 OLED 패널의 ASP는 전년 대비 2% 하락할 것으로 전망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이하 “카운터포인트”)의 최신...
by Hansol Jang | 2025.07.11 | PR
관세 영향 및 전반적인 산업 침체로 2025년 전세계 스마트폰 생산량이 1% 감소할 것으로 전망 중국은 관세 영향이 본격화되며 생산량 감소 및 내수 부진을 겪을 것으로 예상 2025년 최대 수혜국은 인도가 될 것으로 전망 – 애플, 삼성의 수출 수요에 힘입어 생산량이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며, 생산량 기준 점유율이 사상 최고치인 20%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 글로벌 생산·수출 허브 베트남 또한 삼성·모토로라를 중심으로 견조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보여 기타 지역들은 자국 내...
by Hansol Jang | 2025.07.9 | PR
화웨이 및 애플이 성장을 주도하며 2025년 2분기 중국 스마트폰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 화웨이는 주요 브랜드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2분기 중국 스마트폰 시장 1위를 차지할 것으로 보여 애플은 아이폰 16 프로 및 프로 맥스 모델 판매 호조에 힘입어 한 자릿수 후반대 성장률 기록 5월, 정부 보조금 프로그램과 대규모 프로모션이 맞물리며 화웨이 및 애플 판매량 확대에 기여 618 쇼핑 축제 시즌 판매량은 전년 대비 판매 실적이 정체되며 소비...
by Hansol Jang | 2025.07.8 | PR
2025년 2분기 메모리 시장(D램, 낸드 합산)에서 SK하이닉스가 총 155억 달러 매출을 기록하며 삼성과 동률로 선두를 경쟁 (1분기는 D램 부문 최초 1위 기록) SK 하이닉스는 2023년 1분기 27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술 기반과 고객 위주의 고품질 제품을 제공하면서 현재의 위치에 올라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이하 “카운터포인트”)의 최신 메모리 트래커 보고서에 의하면, 2025년 2분기 SK 하이닉스의 메모리 매출액이 155억달러를 기록하며 삼성과...
by Hansol Jang | 2025.07.4 | PR
중국 보조금 정책, 초기 수요 촉진 성공. 다만 현재는 여러 어려움에 직면 애플 아이폰 프로 가격 인하와 함께 618 쇼핑 축제 판매량 1위 차지 샤오미는 자사 최초 자체 개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Xring O1을 공개하며 프리미엄 시장 공략 인공지능(AI)은 여전히 주요 이슈로 남아 있지만, OEM들은 더 실용적인 용례에 집중하는 추세 2025년 상반기, 메모리를 제외한 대부분의 부품 가격 하락. 다만 하반기에는 다시 가격 상승이 예상되며 보급형 제품군에는 새로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