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Hansol Jang | 2025.04.25 | PR
SK하이닉스는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AI 기반 수요와 수익성 높은 D램 제품 믹스에 힘입어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실적 기록 HBM은 전체 D램 출하량의 14%에 불과했으나 D램 영업이익의 절반 이상을 견인하며 사업 내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관세 및 거시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전년 동기 대비 성장 보다는 전분기 대비 성장 모멘텀에 주목해야 고대역폭 메모리(HBM)가 SK하이닉스 성장의 핵심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2025년 1분기 SK하이닉스가 예상치를 뛰어넘는 실적을...
by Hansol Jang | 2025.04.22 | PR
중국의 주간 스마트폰 판매량이 춘절 연휴 전 일시적인 급증세를 보인 뒤, 5주차부터 11주차까지 연속으로 YoY 감소세를 기록 국가 보조금 제도는 지속적인 수요를 창출하기에는 역부족으로 보여 지속적인 경제 불확실성은 중국 소비자들의 스마트폰 구매 의지를 계속해서 약화 시장 회복을 위해서는 단순한 금전적 인센티브가 아닌 제품 혁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주요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이 신제품을 출시함에 따라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예상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이하 “카운터포인트”)의 중국...
by Hansol Jang | 2025.04.17 | PR
2020-2027년 디스플레이 장비 지출 규모가 2% 상향 조정된 770억 달러로 예측됨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에서 OLED 채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IT용 OLED 수요는 예상보다 낮은 수준 2020-2027년 전체 장비 지출 중 중국의 비중이 83%에 이를 것으로 전망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이하 ‘카운터포인트’)는 최근 발표한 Quarterly Display Capex and Equipment Market Share 보고서를 통해 OLED 및 LCD 장비 지출이...
by Hansol Jang | 2025.04.16 | PR
중국, 라틴 아메리카, 동남아 시장의 성장에 힘입어 2025년 1분기 전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 삼성이 애플을 근소한 차이로 제치고 1위를 차지 화웨이는 중국에서의 강력한 성장세에 힘입어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이하 “카운터포인트”)의 마켓 모니터 서비스의 잠정 집계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전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3% 성장했다. 2023년의 감소세 이후 2024년 다시 회복세를 보인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은...
by Hansol Jang | 2025.04.16 | Blog
**본 기사는 2025년 4월 8일 업데이트된 내용입니다.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그러나 자동체 부품에 대한 관세 영향은 5월 초가 되어서야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추가적인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초기 대응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보았다. BMW는 최소한 2025년 5월 1일까지는 관세로 인한 비용을 자체 부담할 예정. 이후 결정을 재검토할 가능성이 있음 페라리는 페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