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Hansol Jang | 2025.07.25 | PR
2025년 2분기 SK 하이닉스가 HBM 매출 기반 사상 최고 영업이익을 기록. 이로써 “순부채 제로”의 목표에 한발 더 가까워져 호황일수록 신기술 개발과 과감한 투자를 통해 정체된 점유율 및 경쟁사 추격에 대한 대비가 필요 SK 하이닉스는 최근 2025년 2분기 실적발표에서 HBM 매출을 기반으로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2023년 어려움을 겪은 이후 최근 3년간 SK하이닉스는 재무구조가 크게 개선되어 차입금은 줄고, 현금은 늘어나는 이상적인 모습을 보이며...
by Hansol Jang | 2025.07.24 | PR
2025년 2분기, 전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2% 증가하며 2분기 연속 성장세 기록. 북미, 일본, 유럽 시장 수요 회복이 주요 동력. 삼성은 시장 1위 자리를 유지했으며 상위 5대 제조사 중 가장 높은 성장률(8% YoY) 기록. 이는 지역별 수요 회복과 A 시리즈 등 중저가 제품군의 전략적 출시에 따른 효과 애플은 북미·인도·일본 시장에서의 강세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4% 성장하며 꾸준한 성장세 유지 모토로라, 인도 및 북미 선불폰 시장에서의 성과로...
by Hansol Jang | 2025.07.21 | PR
2025년 1분기 OLED 패널 출하량과 매출액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4%, 2% 증가 TV, 태블릿, 모니터, 스마트폰 위주로 출하량이 증가한 반면 PC·노트북 부문은 감소세 2025년 연간 기준 전체 OLED 패널 출하량이 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에도 불구하고, 전 제품군의 패널 평균판매가격(ASP)이 하락함에 따라 매출은 정체될 것으로 예상. 특히 스마트폰용 OLED 패널의 ASP는 전년 대비 2% 하락할 것으로 전망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이하 “카운터포인트”)의 최신...
by Hansol Jang | 2025.07.11 | PR
관세 영향 및 전반적인 산업 침체로 2025년 전세계 스마트폰 생산량이 1% 감소할 것으로 전망 중국은 관세 영향이 본격화되며 생산량 감소 및 내수 부진을 겪을 것으로 예상 2025년 최대 수혜국은 인도가 될 것으로 전망 – 애플, 삼성의 수출 수요에 힘입어 생산량이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며, 생산량 기준 점유율이 사상 최고치인 20%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 글로벌 생산·수출 허브 베트남 또한 삼성·모토로라를 중심으로 견조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보여 기타 지역들은 자국 내...
by Hansol Jang | 2025.07.9 | PR
화웨이 및 애플이 성장을 주도하며 2025년 2분기 중국 스마트폰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 화웨이는 주요 브랜드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2분기 중국 스마트폰 시장 1위를 차지할 것으로 보여 애플은 아이폰 16 프로 및 프로 맥스 모델 판매 호조에 힘입어 한 자릿수 후반대 성장률 기록 5월, 정부 보조금 프로그램과 대규모 프로모션이 맞물리며 화웨이 및 애플 판매량 확대에 기여 618 쇼핑 축제 시즌 판매량은 전년 대비 판매 실적이 정체되며 소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