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년 2분기 한국 커넥티드카 판매량, 전년 동기 대비 11% 성장
- 현대기아차의 커넥티드카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12% 성장. 현대기아차는 전체 시장 점유율의 60%를 차지하며 국내 커넥티드카 시장 선도
- 2025년 2분기 기준 한국에서 판매된 차량의 83%가 임베디드 커넥티비티 탑재. 전국적인 5G 인프라 및 커넥티비티 생태계를 기반으로 2030년에는 100% 보급 전망
- 현재 국내 커넥티드카의 약 94%는 4G 네트워크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2030년까지 5G 기반 커넥티비티 보급률이 88%에 이를 것으로 전망
글로벌 시장 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이하 “카운터포인트”)의 전세계 커넥티드카 시장 추적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한국 커넥티드카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11% 성장했다. 이는 셀룰러 통신 기능이 기본 탑재된 커넥티드카의 출시 확대에 기인한 결과였다. 2분기 판매된 커넥티드카 중 83%가 임베디드(Embedded) 방식의 통신 기능을 탑재한 차량으로, 이는 디지털 모빌리티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지속되고 있으며, 국내 완성차 업계가 기술력과 시장 대응 면에서 경쟁우위를 갖추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 자동차 그룹별 커넥티드카 판매량 기준 점유율, 2024년 2분기 vs 2025년 2분기
국내 커넥티드카 시장은 이미 성숙 단계에 진입했으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카운터포인트는 2030년까지 국내에서 판매되는 모든 커넥티드카에 셀룰러 기반 통신 기능이 기본 탑재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카운터포인트 그렉 바시크(Greg Basich) 연구위원은 “과거에는 커넥티비티가 고급차의 차별화 요소로 여겨졌지만, 이제 전 차종에서의 기본 탑재 기능으로 자리잡고 있다. 임베디드 텔레매틱스와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가 차량 내 경험 전반에 깊이 통합되면서 커넥티드 기술은 자동차의 핵심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고 언급했다.
현대기아차 그룹은 커넥티드카 시장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다. 2025년 2분기 현대기아차의 커넥티드카 시장 점유율은 60%에 달했으며,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다. 파워트레인 종류(내연기관, 전기차 등)에 관계없이 일관된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한 점이 성공의 주된 요인이었다. 현대기아차에 이어 BMW, 메르세데스-벤츠, 르노-닛산 그룹이 뒤를 잇고 있으며, 이들 역시 커넥티드카 보급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차의 커넥티드 서비스 브랜드인 ‘블루링크(Bluelink)’와 ‘기아 커넥트(Kia Connect)’는 전기차(EV)와 내연기관차(ICE) 전 라인업에 폭 넓게 적용되고 있다. 해당 플랫폼들은 운전자에게 원격 제어, 텔레매틱스, 내비게이션, 긴급 호출, 차량 상태 모니터링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작용한다.
현대기아차는 초기부터 차량 통합 디지털 생태계 구축에 전략적으로 투자해왔으며, 이를 통해 경쟁사보다 한발 앞서 커넥티드 모빌리티 분야에서의 리더십을 공고히 하고 있다.
2025년 2분기 기준, 한국 커넥티드카의 약 94%는 4G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고 운행되고 있다. 다만 카운터포인트의 최신 전 세계 커넥티드카 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까지 한국 내 커넥티드카의 88%가 5G 네트워크를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고속 통신 인프라는 실시간 차량 간 통신, 고급 텔레매틱스 서비스, 클라우드 분석 기반의 고도화된 안전 경고 기능 등을 가능하게 하며, 스마트 모빌리티 생태계 발전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카운터포인트 아빌라쉬 굽타(Abhilash Gupta) 연구위원은 “이와 같은 5G 네트워크로의 급속한 전환은 5G 커버리지, 선제적인 모빌리티 정책, 그리고 막대한 연구개발(R&D) 투자 등 기술 중심의 환경을 갖춘 한국의 여건이 뒷받침하고 있기 때문이다”고 언급했다.
한국은 전세계 커넥티드카 도입을 위한 모범 사례로 부상하고 있다. 전국적인 5G 커버리지, 정부 주도의 스마트 모빌리티 정책, 그리고 자동차 제조사와 통신사 간의 긴밀한 협력이 차량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현대기아차 그룹이 구축한 디지털 생태계 기반의 경쟁력은, 완성차 업체(OEM)가 커넥티비티를 단순한 기능을 넘어 장기적인 수익 창출과 브랜드 차별화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수출 바우처 상담 문의
(카운터포인트 담당: 장한솔 hansol.jang@counterpointresearch.com)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기술 생태계 전반에 걸쳐 시장 데이터, 인사이트, 리포트 및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산업 및 시장 조사 기관입니다. 반도체 제조사, 부품 공급업체, 소프트웨어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부터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 유통 채널, 투자자에 이르기까지 공급망 전반에 걸친 다양한 글로벌 고객에게 자문을 제공합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
경험이 풍부한 당사의 애널리스트 팀은 전 세계 주요 혁신 허브, 제조 클러스터, 주요 상업 중심지에 위치한 글로벌 오피스를 통해 고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기업 내 최고경영진(C-suite)부터 전략, 시장 인텔리전스, 공급망, 연구개발(R&D), 제품 관리, 마케팅, 영업 등 다양한 부서와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카운터포인트 주요 연구 분야
: 인공지능(AI), 자동차, 클라우드, 커넥티비티, 소비자 가전, 디스플레이, eSIM, IoT(사물인터넷), 위치 기반 플랫폼, 거시경제, 제조, 네트워크 및 인프라, 반도체,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기기 등 공개된 시장 데이터, 인사이트 및 리포트를 확인하고, 애널리스트와의 소통을 원하시면 카운터포인트 라이브러리를 방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