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카운터포인트의 ‘2025 전세계 AI 도시 지수(Global AI Cities Index)’에서 세계 2위 AI 도시로 선정. SK텔레콤과 네이버와 같은 민간 기업들이 AI 서비스 혁신 주도
  • SK텔레콤, AI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며 자사 AI 어시스턴트 ‘에이닷(Adot)’ 제공
  • 네이버, 생체 인식 기반 결제 서비스, 클로바 AI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등 다양한 AI 서비스를 선보이며 시장 선도
  • 카카오, AI 기반 엑스레이 판독 서비스에서 GPT-4를 능가하는 성능 입증. KoGPT 2.0을 통한 생성형 AI 서비스 또한 본격 제공 예정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이하 “카운터포인트”)가 최근 발표한 ‘2025 전세계 AI 도시 지수(Global AI Cities Index)’에서 서울이 세계 2위 AI 도시로 선정되었다. 이는 전세계 주요 100개 대도시를 대상으로 AI 도입 현황을 분석한 보고서로, 카운터포인트는 해당 보고서에서 민관 및 공공 부문의 5,000개 이상의 AI 관련 이니셔티브, 통신 인프라의 강도, 대학의 연구 성과 및 인재 배출 수준, 스타트업 생태계의 역량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2025년 Top 15 AI 도시 순위

*점수는 각 도시의 AI 발전 수준을 측정한 것으로, 최대 점수는 100점

싱가포르는 ‘AI 싱가포르’와 같은 기관을 통한 다양한 정부 주도 AI 도입으로 2025 글로벌 AI 도시 지수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서울이 근소한 차이로 2위를 기록했다. 서울시는 헬스케어와 교육 등 주요 산업 분야에 AI를 적극 도입 중이며, SK텔레콤과 네이버와 같은 민간 기업들이 AI 서비스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이어서 베이징이 3위를 차지했다.

2025년 테크 기업별 AI 도시 구축에 영향을 미친 주요 활동 수

참고: 막대그래프 상단의 숫자는 조사 기간 동안 기록된 기업별 AI 도시 구축에 영향을 끼친 활동의 총 개수를 나타냄

글로벌 테크 기업들은 AI 도시 개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는 AI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대폭 확장하고 다양한 AI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으며, 구글과 아마존 역시 전 세계적인 입지와 방대한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AI 기술 영향력을 바탕으로 정부, 대학, 기업들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엔비디아는 특히 슈퍼컴퓨팅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코펜하겐에 신규 슈퍼컴퓨터 시설을 구축하고, 두바이의 두(du), 밀라노의 패스트웹(FastWeb) 등 글로벌 통신사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AI 적용 사례를 확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SK 텔레콤을 비롯한 주요 통신사들이 AI 생태계 확장에 지속적으로 박차를 가하고 있다. 카운터포인트 마크 아인슈타인(Marc Einstein) 연구위원은 “SK텔레콤은 자사 AI 어시스턴트 ‘에이닷(Adot)’을 통해 서울이 세계적인 AI 도시로 자리매김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SK텔레콤은 AI 데이터센터에 대한 대규모 투자와 함께 AI 어플리케이션 마켓을 구축하는 등 국내 AI 산업의 기반을 강화하고, 생태계 전반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국내 다른 통신사들도 AI 역량 강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KT는 자사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KT 클라우드’에 AI 기능을 본격 도입하고 있으며, LG유플러스는 미래 AI 서비스 개발을 위한 강력한 로드맵을 공개하며 AI 경쟁에 본격 참여하고 있다.

AI 분야의 주도권을 둘러싼 경쟁은 포털 기업 간에도 치열하다. 네이버는 생체 인식 기반 결제 서비스, 클로바 AI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등 다양한 AI 서비스를 선보이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카카오는 AI 기반 엑스레이 판독 서비스에서 GPT-4를 능가하는 성능을 입증하고, KoGPT 2.0을 통한 생성형 AI(GenAI) 서비스도 본격 제공하고 있다.

AI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삼성의 활약이 두드러진다. 삼성서울병원은 간이식 수술을 위한 AI 모델을 개발했으며, 의료기록에 AI 음성인식 기술을 적용하는 등 의료 AI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LG전자 역시 온디바이스 AI의 한계를 극복하며 세탁기 등 다양한 가전제품에 AI 기술을 접목하여 보다 지능화된 스마트홈 실현을 앞당기고 있다.

기타 다른 도시의 AI 인프라에 대해 더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ingapore Named World’s Top AI City in Counterpoint Research’s 2025 AI City Index

수출 바우처 상담 문의

(카운터포인트 담당: 장한솔 hansol.jang@counterpointresearch.com)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기술 생태계 전반에 걸쳐 시장 데이터, 인사이트, 리포트 및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산업 및 시장 조사 기관입니다. 반도체 제조사, 부품 공급업체, 소프트웨어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부터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 유통 채널, 투자자에 이르기까지 공급망 전반에 걸친 다양한 글로벌 고객에게 자문을 제공합니다.

경험이 풍부한 당사의 애널리스트 팀은 전 세계 주요 혁신 허브, 제조 클러스터, 주요 상업 중심지에 위치한 글로벌 오피스를 통해 고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기업 내 최고경영진(C-suite)부터 전략, 시장 인텔리전스, 공급망, 연구개발(R&D), 제품 관리, 마케팅, 영업 등 다양한 부서와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카운터포인트 주요 연구 분야

: 인공지능(AI), 자동차, 클라우드, 커넥티비티, 소비자 가전, 디스플레이, eSIM, IoT(사물인터넷), 위치 기반 플랫폼, 거시경제, 제조, 네트워크 및 인프라, 반도체,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기기 등 공개된 시장 데이터, 인사이트 및 리포트를 확인하고, 애널리스트와의 소통을 원하시면 카운터포인트 라이브러리를 방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