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K하이닉스는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AI 기반 수요와 수익성 높은 D램 제품 믹스에 힘입어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실적 기록
- HBM은 전체 D램 출하량의 14%에 불과했으나 D램 영업이익의 절반 이상을 견인하며 사업 내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 관세 및 거시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전년 동기 대비 성장 보다는 전분기 대비 성장 모멘텀에 주목해야
고대역폭 메모리(HBM)가 SK하이닉스 성장의 핵심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2025년 1분기 SK하이닉스가 예상치를 뛰어넘는 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HBM은 전체 D램 출하량의 14%에 불과했음에도 매출의 44%, 영업이익의 54%를 창출하며 높은 수익성을 입증했다. 1분기 HBM 출하량은 연간 출하 예상치의 20%정도로, 이러한 성장 모멘텀은 연중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실적 개선 여지가 여전히 클 것으로 보인다.
D램 사업 내 HBM 비중

전통적으로 경기 순환과 시장 점유율 경쟁에 좌우되었던 D램 수익성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소위 “치킨 게임”과 같은 시장 요인이 영향을 미쳐왔지만, 이번 SK하이닉스의 1분기 실적은 인공지능(AI) 분야의 기술 혁신이라는 뚜렷한 경쟁력을 부각시켰다. HBM의 강력한 시장 수요를 기반으로 SK하이닉스는 일반적으로 비수기로 여겨지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실적을 기록했다.
전통적인 D램 사업부 또한 40%를 넘는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며 높은 경쟁력을 입증했다. 이는 AI 전환에 최적화된 개선된 제품 믹스와 철저한 비용 관리에 힘입은 결과였다. 그러나 관세 및 경기 둔화 우려 등 잠재적인 위험 요인도 상존한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전년 대비 성장률(YoY)보다는 전분기 대비 성장률(QoQ)에 더욱 주목할 것으로 보인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기술 생태계 전반에 걸쳐 시장 데이터, 인사이트, 리포트 및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산업 및 시장 조사 기관입니다. 반도체 제조사, 부품 공급업체, 소프트웨어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부터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 유통 채널, 투자자에 이르기까지 공급망 전반에 걸친 다양한 글로벌 고객에게 자문을 제공합니다.
경험이 풍부한 당사의 애널리스트 팀은 전 세계 주요 혁신 허브, 제조 클러스터, 주요 상업 중심지에 위치한 글로벌 오피스를 통해 고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기업 내 최고경영진(C-suite)부터 전략, 시장 인텔리전스, 공급망, 연구개발(R&D), 제품 관리, 마케팅, 영업 등 다양한 부서와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카운터포인트 주요 연구 분야
: 인공지능(AI), 자동차, 클라우드, 커넥티비티, 소비자 가전, 디스플레이, eSIM, IoT(사물인터넷), 위치 기반 플랫폼, 거시경제, 제조, 네트워크 및 인프라, 반도체,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기기 등
공개된 시장 데이터, 인사이트 및 리포트를 확인하고, 애널리스트와의 소통을 원하시면 카운터포인트 라이브러리를 방문해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