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4년 4분기 글로벌 파운드리 산업 매출액 전년 동기 대비 26%, 전 분기 대비 9% 증가, 이는 강력한 AI 수요 증가와 중국의 지속적인 회복에 힘입은 결과
- AI 및 플래그십 스마트폰 수요로 인해 첨단 공정 노드의 산업 가동률은 높은 수준을 유지
- 비(非) AI 수요는 가전제품 및 PC 반도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점진적으로 회복 중, 미국 관세 관련 선매수와 중국 정부의 보조금 관련 수요에 의해 촉진
- 첨단 패키징 수요는 강력하고 안정적, TSMC는 CoWoS 용량과 주문 조정에 대한 이전의 시장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 CoWoS-L에 집중한 확장 진행
카운터포인트 리서치 (이하 ‘카운터포인트)의 파운드리 분기별 트래커에 따르면, 글로벌 파운드리 산업의 매출액은 2024년 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26%, 전분기 대비 9% 성장했다. 이 성장은 주로 강력한 AI 수요와 중국 경제의 지속적인 회복에 힘입은 결과이다.
표1]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매출액 기준)

첨단 공정 노드의 가용률은 AI 및 플래그십 스마트폰 수요, 특히 TSMC의 N3 및 N5 공정에 의해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글로벌 성숙 노드(mature-node) 파운드리(중국 제외)는 여전히 낮은 가용률로 계속 어려움을 겪으며, 4분기 동안 약 65%-70% 수준에 머물렀다. 이 가운데 12인치 노드는 8인치 노드보다 더 강한 회복세를 보였는데, 이는 8인치 노드가 자동차 및 산업용 부문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이들 분야의 수요 부진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非) AI 수요는 점진적으로 회복 중이며, 특히 소비자 전자제품 및 PC 반도체에서 미국의 관세로 인한 선매수와 중국의 보조금 정책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시장 전반의 안정화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표2] 글로벌 파운드리 매출액 점유율 및 업체 순위(2023년 4분기 ~ 2024년 4분기)

AI와 고성능 컴퓨팅(HPC)이 첨단 공정 수요를 지속적으로 견인하면서, 고급 패키징은 산업 성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TSMC는 CoWoS-L/CoWoS-R 용량을 적극적으로 확대하며 이 같은 흐름을 강화했으며, 이를 통해 이전의 용량 및 주문 조정과 관련된 시장 우려를 해소했다.
TSMC는 2024년 4분기에 기대를 뛰어넘는 견조한 실력을 기록했으며, 특히 매출 총이익률이 예상치를 상회했다. TSMC는 2024년 4분기 전 세계 파운드리 시장에서 업계 매출 점유율을 67%로 확대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이는 전 분기의 64%에서 상승한 수치이다. 이번 실적은 AI 가속기 수요와 강력한 플래그십 스마트폰 판매에 힘입어, 특히 N3 및 N5 공정을 중심으로 첨단 공정 노드의 높은 가동률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2025년 1분기에는 스마트폰 시장의 계절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AI 관련 수요가 이를 상쇄할 것으로 보이며, AI 매출은 2025년에 두 배로 성장할 전망이다. AI를 넘어 비(非) AI 반도체 시장도 재고 정상화와 주요 최종 시장의 완만한 반등에 힘입어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TSMC는 2025년 글로벌 파운드리 산업이 전년 대비 10%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이를 상회하는 성과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TSMC는 2025년 연간 매출액이 전년 대비 20% 중반대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TSMC의 장기 성장 전망도 여전히 강력하며, 2024년부터 2029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20%로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기간 AI 가속기 매출은 연평균 성장률 40% 중반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TSMC의 매출액 가이던스와 AI 가속기 매출 전망치는 2024~2029년 기간 동안 예상치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삼성 파운드리의 매출액은 2024년 4분기 소폭 감소했으며, 이는 예상보다 저조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수요가 주된 원인이었다. 가동률 하락과 첨단공정 관련 엔지니어링 비용 증가로 인한 높은 R&D 지출이 실적에 부담을 주었다. 모바일 수요 부진은 매출에 추가적인 압력을 가하면서, 2024년 4분기 업계 매출 점유율은 11%로 하락했으며, 이는 3분기의 12%에서 감소한 수치이다. 단기적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삼성 파운드리는 장기적인 성장에 주력하고 있다. 2025년에는 첨단공정에서 AI 및 HPC 제품 판매를 확대해 연간 매출 반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삼성은 첨단 공정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한편, 2025년 양산을 목표로 2nm GAA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SMIC의 2024년 4분기 실적은 예상에 부합하는 수준을 기록했다. 이번 분기 견조한 매출 성장은 소비자 전자제품 수요 회복과 중국 내 현지화 노력에 힘입은 결과였다. SMIC의 12인치 웨이퍼 출하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나, 8인치 웨이퍼 출하량은 2024년 상반기 동안의 선매수 수요로 인해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이에 따라 2024년 4분기 SMIC의 전체 가동률은 전분기 90.4%에서 85.5%로 감소했으며, 이는 지속적인 생산능력 확장과 8인치 노드의 상대적으로 낮은 가동률을 반영한 것이다. 한편, SMIC의 2025년 1분기 실적 가이던스는 중국의 소비 보조금 및 미국 관세 부과 이전 선매수 수요에 힘입어 스마트폰 및 소비자 전자제품에 부문의 예상보다 양호한 계절적 상장세를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2025년 2분기와 하반기 이후에 대해 강력한 수요 견인 요소 부족과 업계 공급 과잉을 이슈로 보수적인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
UMC의 2024년 4분기 실적은 대체로 예상에 부합했으며, 소비자 전자제품의 간헐적인 긴급 주문이 웨이퍼 출하를 안정적으로 뒷받침했다. 그러나 가격 압박과 1월 대만 지진의 영향으로 회사의 매출 총이익이 하락하면서 2025년 1분기 실적 전망이 예상보다 부진했다. Wi-Fi, TV,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등 소비자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수요가 회복 초기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경영진은 시장 전반의 모멘텀이 여전히 부족하다고 판단하며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UMC는 장기적으로 인터포저 기술, 광전자 IC, 디스플레이 애플리케이션용 고전압 공정 등에서 장기적인 기회를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있으나, 단기적으로는 의미 있는 매출 성장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UMC는 2025년 성숙 노드에서 한 자릿수 초반의 연간 성장률을 예상하고 있으며, 전체 파운드리 시장을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가동률의 지속적인 회복 여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글로벌 파운드리는 2024년 4분기 안정적인 실적을 발표했으며, 스마트폰 부문에서의 계절적 약세를 상쇄하는 강력한 웨이퍼 출하 실적을 기록했다. 자동차 수요는 디자인 승인이 증가하면서 주요 성장 동력으로 지속되었고, 통신 인프라와 데이터센터 매출액은 광학 트랜시버, 위성 통신, AI 추론 칩에 대한 수요 증가에 힘입어 견조한 성장을 보였다. 또한 홈 및 산업용 IoT도 회복의 초기 신호를 보였으며, 이는 순차적인 매출 성장에 기여했다. 계절적 약세와 지속적인 거시경제적 역풍으로 인해 2025년 1분기 전망은 다소 부진하지만, 글로벌 파운드리는 자동차관련 수요 증가, AI 관련 기회 확대, 소비자 시장의 안정적인 추세에 힘입어 2025년 동안 지속적인 분기별 매출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
카운터포인트 애덤 창(Adam Chang) 애널리스트는 “파운드리 산업의 2024년 4분기 강력한 실적은 주로 급증한 AI와 플래그십 스마트폰 수요에 의해 견인되었으며, 이는 첨단 공정 노드, 특히 TSMC의 N3 및 N5/N4에서 가용률을 높게 유지시켰다. AI 및 HPC 애플리케이션은 산업 성장의 지속적인 원동력이 되어, CoWoS 및 SoIC와 같은 첨단 패키징 솔루션의 필요성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8인치 부문을 중심으로 성숙 공정 파운드리들은 자동차 및 산업 부문에서의 수요 부진으로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25년으로 접어들면서 파운드리 산업의 성장은 여전히 강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첨단 공정에서의 AI 주도 성장의 지속 가능성과 기존 공정 노드의 전반적인 안정화가 주요한 관전 포인트가 될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테크놀러지, 미디어, 텔레커뮤니케이션 산업 분야를 전문으로 하는 글로벌 리서치 기관으로, 애플과 같은 제조사별 실적과 시장 전망 데이터 및 트렌드 분석보고서를 제공한다. 마켓펄스라고 불리는 월별 보고서를 비롯하여 분기별 보고서, 고객사의 요청에 맞는 주문형식의 보고서, 브랜드의 모델별 출하량 데이터 제공, 컨설팅 업무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