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년 전세계 배터리 전기차(BEV) 시장에서 BYD가 판매량 기준 15.7%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1위에 오를 것으로 전망. BYD는 규모, 혁신적인 기술, 강력한 정부 지원을 기반으로 성장해 나갈 것으로 예상
- BYD의 새로운 초고속 충전 시스템은 테슬라의 슈퍼차저를 능가했으며, 새로운 산업 표준을 제시
- BYD의 수직 통합된 공급망은 경쟁력 있는 가격 책정 및 향상된 운영 효율성을 가능하게 하며 BYD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
- 테슬라는 평판, 지정학적 리스크, 주요 시장에서의 판매 둔화 등 여러 어려움에 직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이하 ‘카운터포인트’)는 최근 발표한 전세계 승용 전기차 전망 보고서에서 BYD가 2025년 처음으로 배터리 전기차(BEV) 시장에서 테슬라를 제치고 15.7% 판매량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BYD는 기술 리더십, 수직 통합된 생산 모델을 바탕으로 한 공격적인 확장, 강력한 정부 지원 정책 등에 힘입어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자동차 그룹별 전세계 승용 전기차 판매량 점유율 (2025년 전망)

BYD가 최근 도입한 초고속 충전 시스템은 BEV 성능의 획기적인 도약을 의미하며, 충전 속도와 편리성에 대한 소비자 우려를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해당 초고속 충전시스템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1,000V 전기 아키텍처: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여 고효율의 에너지 전송을 가능하게 함
- 10C 충전 속도 배터리: 단 5분 만에 최대 400km(249마일)의 주행 거리를 제공
- 실리콘 카바이드 (SiC) 파워 칩: 충전 효율성을 높이고 열 저항성을 강화
- 블레이드 배터리 기술: BYD의 독자적인 LFP 기반 블레이드 배터리. 안전성, 내구성, 초고속 충전에 최적화
카운터포인트 선임연구원 아비크 무케르지(Abhik Mukherjee)는 “BYD의 시스템은 단 5분 만에 400km의 주행 거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업계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으며, 10분동안 약 275km를 충전하는 테슬라의 슈퍼차저를 훨씬 넘어섰다. 이러한 기술적 도약은 충전 시간에 대한 소비자 우려를 크게 완화하고, 충전 불안을 줄여 전기차 보급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BYD와 달리 테슬라는 현재 여러 가지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일론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로 인해 미국과 유럽의 주요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켜 브랜드 이미지가 타격을 입었다. 카운터포인트의 2025년 초반 데이터에서도 이미 이러한 지역에서의 판매 둔화가 감지되고 있다.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분쟁 심화 및 중국산 전기차 부품에 대한 관세 인상 등 지정학적 긴장 상황이 테슬라의 공급망을 더욱 교란시키고 있다. 여기에 제품 출시 지연과 치열해지는 경쟁까지 더해지면서, 이러한 요인들이 2025년 테슬라의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카운터포인트 이윤정(Liz Lee) 연구위원은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는 자충수를 둔 셈이며, 2025년 1분기 판매 실적이 얼마나 타격을 입었는지 곧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BYD에게 큰 기회이며, 만약 BYD가 초고속 충전 기술을 성공적으로 구현한다면 BYD와 중국 BEV 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전환점을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BYD의 강점은 수직 계열화에 있다. BYD는 자회사들을 통해 배터리, 모터, 전자 시스템 등 핵심 부품을 직접 통제하며, 이제는 충전 인프라까지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종합적인 관리 능력 덕분에 BYD는 수익성을 유지하면서도 경쟁력 있는 가격의 차량을 제공할 수 있어, 시장 선도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
- BEV는 배터리 전기차(Battery Electric Vehicle)를 의미
- 판매량은 도매 실적, 즉 각 브랜드가 공장에서 출고한 차량의 수치를 의미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테크놀러지, 미디어, 텔레커뮤니케이션 산업 분야를 전문으로 하는 글로벌 리서치 기관으로, 애플과 같은 제조사별 실적과 시장 전망 데이터 및 트렌드 분석보고서를 제공한다. 마켓펄스라고 불리는 월별 보고서를 비롯하여 분기별 보고서, 고객사의 요청에 맞는 주문형식의 보고서, 브랜드의 모델별 출하량 데이터 제공, 컨설팅 업무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