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세계 HLOS*(또는 고급) 스마트워치 시장이 2024년 연간 15%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
  • 애플의 워치OS가 우세한 가운데, 올해는 화웨이의 하모니OS 및 구글의 웨어OS 채택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
  • 중국에서는 화웨이 5G 스마트폰의 강세에 힘입어 Harmony OS 스마트워치 점유율이 61%에 달할 것으로 예상
  • 삼성, 구글, 원플러스, 오포 및 샤오미 등 브랜드가 웨어OS 판매량을 주도할 것으로 보여

수년동안 전세계 스마트워치 시장은 기본형 스마트워치(*대부분 100달러 미만의 가격으로, 기본적인 기능 및 애플리케이션을 갖춘 자체 및 실시간 운영 체제 적용 스마트워치)의 폭발적인 수요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해 왔다. 반면, 고사양 스마트워치(*고사양 운영 체제 또는 HLOS 탑재 스마트워치)는 대부분 애플과 삼성에 의해 성장이 주도되어 왔다.

그러나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의 최신 글로벌 스마트워치 리포트에 따르면, 글로벌 HLOS 스마트워치 시장이 2023년 완만한 성장을 보인 뒤 2024년에는 연간 1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시장은 애플이 아닌 구글 웨어 OS기반의 제품을 사용하는 중국 외 지역이나, 중국 내에서는 화웨이 하모니OS사용자들로 인해 시장 성장이 주도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외 지역에서는 구글의 웨어OS 기반 스마트워치 채택 유저로부터, 중국 내에서는 화웨이의 하모니OS 기반 스마트워치 채택 유저로부터 주도될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고사양 스마트워치 부문에서 중국 외 지역의 구글 웨어OS 점유율은 2024년 27%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성장은 주로 최신 구글 픽셀과 원플러스 워치2, 삼성 갤럭시 워치6 시리즈와 같은 웨어OS 기반의 고사양 스마트워치 출시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시니어 애널리스트 안시카 자인(Anshika Jain)은 “프리미엄 기기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소비자 구매 패턴 변화와 마찬가지로, 스마트워치를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 및 업그레이드 예정의 안드로이드 사용자들은 이제 훨씬 더 높은 소비자 경험을 원하고 있으며, 다음 구매 시 더 많은 비용을 기꺼이 지출할 의향이 있다. 따라서 구글의 안드로이드 웨어(Wear OS)가 타사 앱 경험, 구글 AI 비서, 정확한 건강 상태 트래킹, 사용자 정의 및 배터리 최적화를 제공함으로써 채택률이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언급했다.그녀는 이어서 “지금까지 대부분의 웨어OS 채택은 삼성의 스마트워치에 의해 주도되었고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를 위한 옵션이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올해부터 구글과 퀄컴은 원플러스, 오포, 샤오미와 같은 주요 스마트폰 고객을 유치하여 매력적인 가격대로 웨어OS 기반 스마트워치를 중국 이외 지역에 출시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구글의 자체 픽셀 워치도 전 세계적으로 웨어OS의 채택률에 계속해서 기여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웨어OS 뿐만 아니라 하모니OS 또한 중국에서의 화웨이 스마트워치의 인기에 힘입어 크게 성장하고 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연구위원 에단 치(Ethan Qi)는 이러한 추세에 대해 “2023년 전체 하모니OS 출하량은 거의 2배 증가하며 애플의 워치OS를 능가했다. 하모니OS의 중국 출하량 점유율은 2023년 48%에서 2024년 61%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지난해 화웨이의 5G 스마트폰 출시와 이에 따른 성장은 화웨이 스마트워치 채택률을 높이고 중국의 첨단 스마트워치 시장을 확대하는 핵심 촉매제 역할을 했다.”고 언급했다.

중국 시장 내 & 중국 시장 외 스마트워치 출하량 점유율

스마트워치 칩셋의 경우 현재 애플과 삼성이 고사양 스마트워치 시장의 3분의 2를 점유하고 있으며 Hengxuan과 퀄컴은 2024년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퀄컴은 W5+ 1세대 및 W5100 프로세서를 추가로 출시할 것이며 Hengxuan의 성장은 주로 중국의 화웨이 및 샤오미의 스마트워치 채택률 성장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향후 출시될 스마트워치에는 퀄컴과 같은 하이엔드 프로세서와 저전력 코프로세서 및 하이브리드 버전의 웨어 OS가 결합된 듀얼 칩셋 및 듀얼 OS 전략이 새로운 추세로 자리잡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해당 웨어 OS를 사용하면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RTOS와 HLOS 간의 원활한 통합 및 전환을 통해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앰빅 마이크로, BES 테크 및 구딕스와 같은 업체들은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고사양 스마트워치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해 나갈 것이다. 따라서 웨어 OS와 같은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갖춘 하드웨어 플레이어들이 기기 기능 확장을 위해 시장에서 더 많은 협업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MicroEJ와 같은 기업은 듀얼 OS 애플리케이션의 복잡성을 추상화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렇듯 OS 및 칩셋 전략과 관련하여 새로운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워치 디스플레이 또한 차별화를 위한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DSCC의 데이비드 나란조(David Naranjo) 이사는 “DSCC의 최신 스마트워치 디스플레이 패널 출하량 트래커에 따르면, 커팅엣지 OLED 및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고사양 스마트워치는 2023년 하반기 이후의 강력한 모멘텀 및 디스플레이 크기 확대와 OLED 패널 가격 하락(3%)으로 2024년 공급업체 주문량이 16%에서 18%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언급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테크놀러지, 미디어, 텔레커뮤니케이션 산업 분야를 전문으로 하는 글로벌 리서치 기관으로, 애플과 같은 제조사별 실적과 시장 전망 데이터 및 트렌드 분석보고서를 제공한다. 마켓펄스라고 불리는 월별 보고서를 비롯하여 분기별 보고서, 고객사의 요청에 맞는 주문형식의 보고서, 브랜드의 모델별 출하량 데이터 제공, 컨설팅 업무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